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스크랩33

샤크 탱크 : 90초·실행력·숫자 모두 갖춘 ‘설득되는 피칭’이란? | 250107 그가 꼽은 성공하는 피칭의 공통점은 세 개야. 바로 ‘90초, 실행력, 숫자’. 이 중 한 가지만 부족해도 절대 투자하지 않는단 거야.① 90초 : 일단 시작이 명료해야 한다먼저 90초 안에 ‘내 아이디어가 왜 좋은지’ 설명할 수 있어야 해. 짧을수록 좋아. 말이 장황할수록 하고 싶은 말을 알기 어렵다는 거지. “샤크 탱크에서 거래에 성공하는 대다수의 CEO는 90초 안에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해 설명합니다. 훌륭한 아이디어라면 말하기 쉽고, 간단히 표현할 수 있죠.”_케빈 오리어리, 2022년 CNBC 인터뷰에서 케빈은 2013년 시즌 4에 출연한 위키드 굿 컵케이크Wicked Good Cupcakes를 예로 들었어. 종이상자나 비닐 대신, 유리병에 담긴 컵케이크를 파는 브랜드야. 처음엔 특별한 경쟁력.. 2025. 3. 12.
뇌과학자 장동선 : 마음처럼 내 뇌의 그릇도 넓힐 수 있다 | 250106 2017년 한 뇌과학자가 예능에서 한 말을 담은 영상이죠. 그는 부둣가에서 사람들과 식사하던 중, 느닷없이 갑각류의 성장을 이야기해요. 가재나 새우 같은 것들은 성장할 때 단단한 허물을 벗고 가장 약한 상태에 놓인다고 말하죠. 그리고 이렇게 덧붙여요. “내가 성장할 수 있는 순간은, 내가 가장 약해지고 상처받을 수 있는 ‘그 순간’이라고 봐요. 저는 인간의 몸은 척추동물이지만 마음은 가재와 비슷하지 않을까 생각했어요. (…) 너무 약해서, 그냥 스치기만 해도 상처받을 거 같은 순간에 우리는 크고 있는 거잖아요.”_장동선, 2017년 에서   “요즘 사람들이 제게 물어요. ‘대체 이 사람의 뇌는 어떻게 생겨먹은 걸까요?’ 이해할 수 없는 선택을 하거나, 다른 의견은 무조건 차단하는 사람을 보면서 하는 질문.. 2025. 3. 12.
미루기에 관하여 : “오늘도 할 일을 미뤘나요?” 심리학자의 처방전 | 250103 완벽주의가 꾸물거리는 이유가 되기도 해요. 정확하게는 ‘사회부과 완벽주의자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t’들이 꾸물거린다고 합니다. 부모님이나 직장 등 사회로부터 오는 기대를 충족하려고 노력하는 사람들이죠. ‘후천적 완벽주의’랄까요? “완벽주의자들은 잘하고 싶어서 꾸물거려요. 완벽한 준비를 하느라 시작이 늦거나, 디테일에 집착하다 완성을 못 하죠.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크기 때문이에요. 실패를 받아주지 않는 한국 사회에서 좀 더 흔히 보이는 유형이죠.” 예를 들면, 보고서를 쓰는데 종일 조사만 하는 거예요. 완벽한 보고서를 쓰고 싶으니까요. 하지만 그러다 보고서를 쓸 시간이 부족해져서 엉망인 결과물을 내고 말죠. 이들은 일하기 좋은 ‘완벽한 타이밍’을 기다리기도 해요. 피.. 2025. 3. 12.
생활맥주 : 여의도 10평 가게는 어떻게 250개 매장의 브랜드가 됐을까? | 250102 그는 ‘장사 마인드’가 아닌 ‘기업가 마인드’로 사업을 운영해야 한다고도 덧붙였어요. “저는 ‘장사’라는 단어를 머리에서 좀 지우라고 말해요. 장사는 뭔가를 사고팔면서 이익을 취하는 거거든요. 장사꾼이 되려고 하면 ‘뭘 팔아야 많이 남지?’만 생각하게 돼요.사업은 그런 게 아니에요. 사업은 누군가의 불편을 해소하거나, 행복하게 하거나 누군가한테 가치를 주는 일이에요. 소비자에게 이로운 일을 하면, 거기에서 나만의 시장이 만들어지는 거예요.” 2025. 3. 12.
728x90
반응형